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는 업종

오늘의 주제는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는 업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업을 시작하거나 영위 중인 사업자들에게 간이과세와 일반과세의 차이는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업종들이 간이과세 대상에서 배제되는지, 그 이유와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는 업종의 일반적인 기준

*일반과세가 적용되는 다른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

다만, 개인택시 운송업, 용달 및 개별화물자동차 운송업, 그밖의 도로 화물 운송업, 이·미용업 등은 제외됩니다.

*일반과세자로부터 사업포괄양수 받은 사업자

*간이과세 배제업종을 영위하는 사업자

*사업의 종류·규모, 사업장소재지 등을 감안하여 국세청장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되는 사업자

*이들의 상세한 내용은 '간이과세 배제업종'과 '국세청장이 정한 기준 간이과세 배제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간이과세 배제업종의 상세 기준

간이과세 배제업종은 국세청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광업

*제조업: 다만, 주로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재화를 공급하는 사업으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

*도매업: 소매업을 겸영하는 경우 포함하되, 재생용 재료수집 및 판매 업은 제외 및 상품중개업

*부동산매매업

*「개별소비세법」 제1조제4항에 해당하는 과세유흥장소를 경영하는 사업으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

*부동산임대업으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세무사 등 전문직 사업자

*일반과세자로부터 사업을 양수한 사업자

*사업장의 소재 지역과 사업의 종류·규모 등을 고려하여 국세청장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것

*전전년도 기준 복식부기의무자가 경영하는 사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 사업

*건설업: 다만, 주로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재화를 공급하는 사업으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다만, 주로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재화를 공급하는 사업으로서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

 

일반적으로 이런 기준은 각 업종의 특성, 사업규모, 영업방식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국세청장이 인정하고 고시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간이과세가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3. 국세청장이 정한 간이과세 배제기준

1) 종목기준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및 수도권의 시 지역(읍·면 지역 제외)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목의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간이과세를 적용 받을 수 없습니다.

 

*초기 투자비용이 큰 업종: 주유소, 예식장, 백화점, 볼링장 등

*주로 사업자와 거래하는 업종: 자료처리업, 산업폐기물 수집 처리업 등

*고가품, 전문품 취급업종: 골프장비 소매업, 의료용품 소매업, 귀금속점 등

*1회 거래가액이 큰 품목 취급업종: 피아노, 컴퓨터, 정수기, 대리점 가구, 가전제품 등

* 기타 신종 호황업종: 피부·비만관리업, 음식출장 조달업 등

이러한 종목들은 간이과세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 경우가 많으므로, 간이과세를 적용받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지역기준

간이과세 배제지역으로 지정된 건물이나 장소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에도 간이과세를 적용 받을 수 없습니다. 지역기준은 주로 사업의 특성과 영업환경, 그리고 해당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정해집니다. 이는 불공정한 경쟁을 방지하고, 간이과세제도의 합리적 운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4. 간이과세제도의 중요성

간이과세제도는 중소 사업자들에게 중요한 제도입니다간이과세자로 등록하면 일반과세자에 비해 세금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며세무처리가 단순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대로 모든 사업자가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따라서 사업을 시작하거나 사업의 종류를 변경할 때는 반드시 간이과세자 등록에 대한 요건과 배제 업종을 확인해야 합니다.